About | Browse Archives | Editorial Board | For Contributors |
Sorry.
You are not permitted to access the full text of articles.
If you have any questions about permissions,
please contact the Society.
죄송합니다.
회원님은 논문 이용 권한이 없습니다.
권한 관련 문의는 학회로 부탁 드립니다.
Editor-In-Chief | Gi Beum Kim |
---|---|
Manuscript Editor | Sun Ok Kang |
Publisher | Hyeon-Ju Kim |
Frequency | Quarterly (February, May, August, and November) |
ISSN | 2288-0089 (Print) |
2288-081X (Online) | |
![]() |
+82-42-825-3995 |
![]() |
+82-42-825-3996 |
![]() |
kosmee@kosmee.or.kr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abbreviated J. Korean Soc. Mar. Environ. Energy) is the official publication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KOSMEE). It was lunched in 1998 and granted with the number of ISSN 1226-7414. Because of the journal title’s change in 2013, the ISSN (Print) was changed to ISSN 2288-0089 and the ISSN (Online) was changed to ISSN 2288-081X.
This journal is published quarterly (February, May, August, and November) as a peer-reviewed archival multidisciplinary technologies on maine environmental research, science, engineering and maritime issues. After the review process of manuscript has been done, everyone can find and download the full text of the journal freely from http://www.kosmee.or.kr or http://www.jkosmee.or.kr or https://www.kci.go.kr without login. Total and a part of the articles in this journal are abstracted in 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Fund of Korea), Google Scholar, and KCI (Korean Citation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abbreviated J. Korean Soc. Mar. Environ. Energy) It aimed to contribute to the scientific knowledges development and technological improvement of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fields. contains research papers or technical reports in the area of maine environmental science, marine energy engineering and maritime policy. More recent marine technologies in the ocean environmental and marine energy issue need largely multidisciplinary technologies at the frontline such as coastal and oceanographic engineering,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ergy engineering, environmental issues on petroleum, carbon dioxide sequestration, ocean energy development, and comprehensive maritime policy development.
Korea Citation Index [chosen by NRF as an excellent journal]
Volume 25(1); February 2022
Sinyoung Kim, Juhee Kim, Seunghoon Yoo
괭생이모자반()은 귀중한 해양생물이지만, 특정 지역에서 개체 수가 일정 수준을 초과할 경우 몇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국내 일부 지역에서는 중국에서 유입된 대규모 괭생이모자반 유조로 인해 악취가 유발되고 관광업 및 어업활동에 피해를 주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했다. 따라서 해양수산...
Beomgi Kim, Gayoung Jin, Junghyun Lee, Changkeun Lee, Jong Seong Khim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이용 증대에 따라 해상에서 수중소음에 의한 생물영향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에 대한 생물영향 평가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선행연구 리뷰를 통해 수중소음으로 인한 어류 및 무척추동물의 영향 범위를 산정하고자 한다. 총 21개 문헌 리뷰를...
A Review on the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 Materials in the Tidal Flats and Salt Marshes
Inha Kwon, Shin Yeong Park, Taewoo Kim, Junghyun Lee, Changkeun Lee, Jong Seong Khim
무분별한 산업화와 해안 개발로 인해 해양생태계의 부영양화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에 연안 내 염습지의 정화능력에 대해 관심이 고조되고 있지만, 염생식물의 종류에 따른 유기물 정화능 연구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안의 유기물 발생량을 파악하고 식생별 유기물 제...
Range of the Biological Effects and Threshold Concentrations on Marine Organisms by Suspended Solids
Shin Yeong Park, Inha Kwon, Junghyun Lee, Seo Joon Yoon, Changkeun Lee, Jong Seong Khim
골재 수요량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된 바다골재 채취로 인해 다양한 해양문제(부유사 확산, 해저지형 변화, 산란·서식장 파괴)가 발생하고 있다. 이 중 부유사에 의한 생물영향 평가 기준은 담수생태계로 국한되어 있으며 해양생태계에 대한 기준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유사가 해양생물...
Sung Wan Park, Hyun Chool Shin
본 연구는 대한민국 동해 연안에 위치한 울산 주변 해역의 저서다모류 군집의 구조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계절별로 2011년에는 32개 정점, 2016년에는 15개 정점 등 총 47개 정점에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평균입도는 수심이 깊어질수록 증가하였고 퇴적상은 수심 30 m 이하의 연안역...
Dae In Lee, Hyung Chul Kim, Won Chan Lee
어장정화·정비사업의 4가지 유형인 해저 퇴적물 준설, 해저 경운, 어장개선물질 살포 및 어장재배치(휴식)에 따른 퇴적물의 환경개선효과를 현장 실증실험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고, 정책 활용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총유기탄소의 단기적(60일) 저감은 준설과 개선물질의 살포를 통해서...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Deukryang Bay, Korea
Moon Ock Lee, Jong Kyu Kim, Byeong Kuk Kim
본 연구에서는 1974년부터 2021년까지 득량만 연구와 관련하여 한국학술지인용색인과 과학인용지수, 그리고 학위논문에 게재된 52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득량만의 해양환경의 특징을 규명하였다. 득량만의 조류는 만내 중앙에 위치하는 득량도를 중심으로 우측 유속이 좌측 유속에 비해 더 빠르고,...